세계/각국문화·국제문화·세계문화

재일 미술--이리 오셔서 '봉선화(鳳仙花)'를 구경하세요

이호(李浩) 2007. 4. 27. 23:40

 

재일 미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어서 오셔서 '봉선화(鳳仙花)'를 구경하세요

 

 

재일 여류화가  신금례(申今禮) 씨의 미술전이 5월 3일-8일, 후쿠오카시(福岡市)의 후쿠오카 아시아 미술관에서 열린다.  어릴 때부터 그림을 가까이했던  신금례 씨(80세)는, 자연의 풍경, 야생의 꽃 등을 그려왔다. 신 씨는 약동적인 텃치, 섬세한 선, 그리고 색채감이 넘치는 화풍으로, 그만의 독자적인 미술세계를 구축해 왔다는 평(評)이다.

다음 그림은  신 씨의 대표작품 "봉선화(鳳仙花)" 이다.

 

 

 

 

'영원한 생명력'의 꽃을 읊은 애창곡 '봉선화(鳳仙花)'

 

<퍼온 글> http://church.catholic.or.kr/unyang/sungga/%C0%CC%BE%DF%B1%E27.htm

 

 

홍난파의 '봉선화'
이 노래가 처음 세상에 나오기는 3.1운동의 다음해인 1920년이다. 도쿄 우에노 음악학교에 다니던 홍난파는 이 해 일단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하여 '경성 악우회'라는 음악 단체를 조직, 음악 보급운동을 폈다.

그는 소설 창작에도 손을 대어 그 해 4월 <처녀혼>이라는 단편집을 냈는데, 이 때 그 단편집 서장에 <애수>라는 제명의 곡보를 실었다. 뒤에 김형준(피아니스트 김원복씨의 선친)이 가사를 붙여 민족의 주제가가 된 <봉선화>가 탄생했다.

이 노래를 먼저 부르고 또 널리 퍼지게 한 공로자 소프라노 김천애는 "폐부를 찌르는 비원의 시구가 아니었더라면 <봉선화>의 가락은 영원히 사장되었을지도 모르지요..."라고 하면서 김형준이 <봉선화>의 가사를 짓게 된 시대적 배경을 설명했다.

"김형준씨가 살던 집 울 안에 봉선화 꽃이 가득했고, 또 김형준씨는 생전의 홍난파와 이웃해 살면서 교분이 두터웠었죠. 김형준씨는 봉선화를 보면 '우리 신세가 저 봉선화꽃 같다'는 얘기도 곧잘 했다고 합니다."

그러나 이 노래가 정작 널리 퍼져 모든 사람의 가슴을 울리게 되기까지는 그로부터 20년이 지난 1940년대의 일이다. 김천애가 <봉선화>를 제일 처음 무대에서 부른 것은, 1942년 봄 일본 동경 무사시노 음악학교를 졸업한 직후, 그곳 히비야 공회당에서 열렸던 신인음악회에서이다.

당시를 회상하면서 김천애는 감회에 적어 눈물을 글썽인다.----"한복 차림으로 무대에 섰지요. 청중들의 앵콜로 <봉선화>를 불렀는데 청중들의 박수 갈채가 떠나갈 듯 했어요. 공연이 끝나자 청중 중의 교포들이 무대 뒤로 찾아와 나를 붙잡고 눈물을 흘리기도 했지요."


김천애는 그 해 가을 귀국해서도 서울 부민관, 하세가와 공회당, 평양 키네마 등 여러 곳에서 독창회를 가지면서, 그때마다 소복 차림으로 <봉선화>를 불러 청중들의 눈물을 글썽이게 했다.

<봉선화>는 빅터와 콜롬비아 두 레코드회사에서 곡을 취입하면서 더욱 크게 히트, 붐을 일으켰다. 일본 경찰 당국은 드디어 나라를 잃은 슬픔을 봉선화에 비유한 이 노래의 가사를 문제 삼아 이 노래를 못 부르도록 했다.

그러나 김천애는 그 후에도 무대에 설 때 마다 이 노래를 불러 여러 차례나 경찰에 연행되기도 했다. 그러기에 <봉선화>하면 누구든 김천애를 연상하게 되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. <봉선화>의 제 1절이 아름답게 꽃피우던 성하에의 애절함이라면, 제 2절은 가을 바람에 떨어지는 낙화에의 조사이다.

일제의 모진 침략으로 쓰라림을 당한 조국의 비운을, 여름에 피었다가 가을에 지는 봉선화에 비유하여 노래하고 있는 것이다.

그러나 이 노래가 이 2절에서 멈추었다면 <봉선화>도 한낱 <아리랑>류의 만가에 그쳐 버렸을 것이라는 게 김천애의 얘기다.

김천애는 3절 가사의 뜻을 강조하고 있다.----"1절과 2절은 마지막 3절을 도입하기 위한 서사에 지나지 않아요. 비록 모진 찬바람에 형골마저 사라져 버렸을지언정, 혼백은 길이 남아, 찾아온 새봄에 다시 살아나기를 바란다는 그 애절한 민족의 염원이,  <봉선화>를 단순한 애수 어린 가곡에서 민족의 노래로 승화시키는 모티브가 되었던 거지요."

 


3절 가사는      [북풍 한설 찬 바람에 네 형체가 없어져도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평화로운 꿈을 꾸는 너의 혼은 예 있으니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화창스런 봄 바람에 회생키를 바라노라
].

홍난파는 1897년 경기도 화성군 남양면 활초리에서 태어났다.16살 때 조선 정악전습소에 입학, 2년 후에 졸업하여 음악교사를 하다가 일본으로 가서 도쿄 우에노 음악학교에서 본격적인 수업을 했다. 그는 다시 미국으로 가서 셀우드 음악학교를 나왔다.

우리나라 최초의 예술 가곡이 된 <봉선화>외에 그는 <성불사의 밤>, <옛 동산에 올라>, <고향 생각>등 많은 뛰어난 가곡을 남겼고, 바이올린 곡으로 <로맨스>, <애수의 조건> 등을 작곡했다.

그는 1941년 조국의 광복을 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.